JavaScript(6)
-
[JavaScript] arrow function
⚡️인자가 하나일 때는 소괄호 생략이 가능합니다 const getName = name => {} const getName = (name, age) => {} ⚡️함수가 실행내용이 딱히 없이 return만 한다면 return 키워드와 중괄호가 생략가능합니다 const hi = name => { return name }; const hi = name => name; const hi = (first, family) => { return first + family }; const hi = (first, family) => first + family; function welcome(name){ return "안녕하세요" + name } // 위, 아래 동일한 코드 const welcome = name => {re..
2022.09.24 -
[JavaScript] Function(함수) - parameter, argument
⚡️매개 변수(parameter) 함수를 정의 하면서, 함수 선언식의 괄호()안에 어떤 변수명 을 쓰면, 우리는 그걸 매개변수 라고 부릅니다. 매개 변수는 그 이름처럼 실제로 함수 안쪽에서 변수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함수가 호출될 때 값을 전달받게 되면 매개 변수에 값이 정의됩니다. ⚡️인자(argument) 어떤 함수를 호출하면서, 호출문의 괄호 안에 어떤 값 또는 값이 정의된 변수를 쓰면, 우리는 그걸 인자 라고 부릅니다. 함수에서 매개변수를 적어둔 상태라면, 호출시 인자로 전달한 값은 매개변수를 통해 사용 가능하게 됩니다. ⚡️Function(함수) - parameter, argument function halfNumber(value) { let myValue = value / 2; retu..
2022.09.21 -
[JavaScript]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Number()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parselnt()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parseFloat()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Math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1. Number()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숫자가 아닌 문자나 undefined 등을 인자로 전달하면 NaN(Not A Number)를 리턴합니다. NaN의 의미는 숫자가 아니라는 것이지만 NaN 객체의 타입을 보면 number(NaN은 숫자로 표현이 안됨) 2. parselnt()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parseInt()는 인자로 전달된 문자열을 정수의 Number로 변환합니다. 소수를 갖고 있는 실수는 정수로 변환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3. parseFloat()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소수를 ..
2022.09.11 -
[JavaScript] background-color change
⚡️ ⚡️ const chosenImage = images[Math.floor(Math.random() * images.length)] Math.random()으로 나온 숫자에 image Array의 길이 값을 곱한 숫자를 내림 배열 요소들이 랜덤하게 반환되는 chosenImage 라는 변수를 만듬 const bgImage = document.createElement("img") createElement() 를 통해 img태그 모습을 가진 코드의 bgImage 라는 변수를 만듬 createElement() 요소에서 "img"를 선택 bgImage.src = `img/${chosenImage}` src 폴더를 추가 document.body.appendChild(bgImage) appendChild()에 b..
2022.09.11 -
[JavaScript] quote author repeat
⚡️ ⚡️ quotes[Math.floor(Math.random() * quotes.length)] Math.random : 0 "이상" 1 "미만" 값 Math.floor : 소수점 내림
2022.09.11 -
[JavaScript] clock
⚡️ ⚡️ String(date.getHours()).padStart(2,"0") padStart(2, "0")에서 2는 두글자가 되지 않으면 앞에 0을 추가한다는 의미 padEnd(2, "0")에서 2는 두글자가 되지 않으면 뒤에 0을 추가한다는 의미 padStart가 string에만 적용되는 속성 clock.innerText = `${hours}:${minutes}:${seconds}` innerText : element 내부에 있는 Text 값을 가져올 때 사용 ex) text 값을 변경 할때 >> 변수명.innerText = "바꿀 내용" innerHTML : element 내부에 있는 HTML 값을 가져올 때 주로 쓴다(HTML 구조까지 모두 가져온다) getClock() setInterval(..
2022.09.11